29년전 화성시의 그많던 쓰레기는 어디에 묻혔을까?
비위생 매립장 현황파악도 못해…환경단체 "시가 대책 마련해야"
By YonhapPublished : March 15, 2019 - 09:54
경기 화성시가 29년 전 사유지를 임차해 쓰레기를 매립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는 가운데, 이와 같은 '비위생 매립장'이 과연 몇 곳에 달하는지 현황파악조차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로서는 화성시가 어디에 어떤 쓰레기를 얼마나 묻었는지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15일 경기도와 화성시 등에 따르면 도는 2008년 초 화성, 평택, 성남 등 13개 시군에 "2007년 사용 종료된 매립지 30곳의 사후관리 분석결과를 통보해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이 공문에는 화성시에 있는 매립장으로 고주리, 안녕리, 쌍송리 등 단 3곳만 적시돼 있다.
하지만 연합뉴스가 입수한 화성시 내부 자료에는 사용종료 매립지가 8곳이라고 돼 있다.
경기도에 보고된 이들 3곳을 포함해 와우리, 송라리, 남양동, 사강리, 석천리 등 5곳이 더 있었다는 내용이다.
시는 이들 8곳에 1989년부터 2001년까지 총 15만t의 쓰레기를 묻었다.
이들 지역은 현재 공장이나 축사, 상가, 공원 등으로 개발된 상태다.
화성시가 사유지에 쓰레기를 매립한 사실이 드러난 황계동은 아예 자료에서 빠져 있다.
이에 대해 화성시 관계자는 "당시 읍면동에서는 쓰레기를 자체 처리하는 게 관행이었기 때문에 시에서는 그때나 지금이나 비위생 매립장에 대한 현황 조사도 못 한 것이 사실"이라며 "실제 전산 자료에는 (경기도에 보고됐다는) 3곳만 매립장이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20여년 전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공무원들은 실제 비위생 매립장은 훨씬 더 많았을 거라고 귀띔한다.
한 공무원은 "20여년 전 읍면동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한 적이 있었다"며 "당시엔 시에 '매립장 설치허가를 내달라'고 요청하면 '불허' 결정을 하고는 예산을 1천만원씩 내려주면서 알아서 처리하도록 유도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어 "비위생 매립장을 활용하라는 지침을 정식 공문으로 하달해달라고 했지만, 당시 시 담당자들은 근거자료를 남기지 않으려고 구두로만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박혜정 화성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비위생 매립장은 수십 년 전 '차수 매트(물을 차단하는 매트)' 등 기본적인 장치도 없이 무단으로 설치돼 지하수와 토양 오염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과거 화성시가 버린 쓰레기인 만큼 시에서 책임감을 갖고 실태를 파악한 뒤 토양과 수질 조사 후 문제가 있다면 처리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