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서울시는 11명의 예술업계 종사자들과 100여명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서울시 공공미술 시민 발굴단을 선발, 공공미술의 가장 큰 주체이자 향유자인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2달 간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교육 기획자로 일했던 김현지 씨는 전문가로 그 프로젝트에 참여, 10명의 조원을 이끌고 도시 재생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서울의 재생 공간들을 찾아 답사를 진행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교육 기획자로 일했던 김현지 씨는 전문가로 그 프로젝트에 참여, 10명의 조원을 이끌고 도시 재생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서울의 재생 공간들을 찾아 답사를 진행했다.
10번의 답사를 통해 그는 도새 재생을 공공미술이라고 볼 수 있는지, 또 재생공간에서 공공미술은 어떤 기능을 하는가 라는 질문을 자신에게 또한 시민 참여자들에게 꾸준히 제기했다.
김 씨와 조원들은 서울로 7017, 선유도 공원, 아라리오 스페이스 등 서울 내 다양한 재생 공간들을 직접 돌아본 뒤, 그 중 중구에 위치한 세운 상가에서 공공미술의 역할을 뚜렷이 발견했다고 말했다.
“세운 상가에서는 지역상인과 작가 간 소통과 참여에 있어서 공공미술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세운상가 내 수리 전문 장인들의 ‘수리수리 협동조합,’ 을지로 일대를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제품들을 활용하거나 주변 상인들과 협업해 작품활동을 하는 ‘을지 예술공간’ 등이 대표적인 예죠.”
그는 마을 공동체 스스로가 좀 더 적극적으로 도시 재생을 통해 공간 조성에 참여한 점은 배울 점이며, 서울의 재생 공간들은 공통적으로 해당 지역의 역사를 존중하는 동시에 공동체의 참여로 새로운 공간을 모색한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공공미술이라는 인식은 알록달록 페인트로 치장하는 벽화에 머물러 있었는데, 재생공간을 통해서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하고 있는 확장된 개념의 공공미술을 경험할 수 있었죠.” 라고 김 씨는 말했다.
지난 두 달 간 주제에 따라 각 조로 나뉘어 서울의 숨겨진 미술 작품을 찾아낸 참가자들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SNS를 통한 확산을 도모했다. 각 조에 배치된 전문가들이 자문을 담당했다.
올 해 2회 째를 맞이한 서울시의 공공미술 시민발굴단은 오는 토요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성과 발표회를 연다. 일반인들도 방청이 가능하며 흥미롭거나 재미있는 활동 보고를 한 조에게 투표가 가능하다.
코리아헤럴드=김다솔 기자 (ddd@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