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피터빈트

한민구 "北 300㎜ 신형 방사포 이르면 올해 말 실전배치"

By KH디지털1

Published : April 6, 2016 - 15:00

    • Link copied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6일 북한이 수도권 이남 지역을 타격할 수 있는 300㎜ 신형 방사포를 이르면 올해 말 실전 배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 장관은 국방부 출입기자단 공동인터뷰에서 "(북한이 300㎜ 방사포를) 최근 수차례 시험평가했는데 이를 통해 거의 개발이 완료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300㎜ 방사포가 이르면 올해 말부터 전력화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 군 당국이) 3년 전부터 개발 과정을 감시해왔다"며 "북한이 300㎜ 방사포를 개발한 것은 탄도미사일에 비해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대량 사격이 가능하며 기존 스커드 계열 미사일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2013년부터 300㎜ 방사포를 여러 차례 시험발사했으며, 지난달 3일과 21일, 29일에도 잇달아 쐈다.

(연합) (연합)
북한은 지난달 21일 발사를 '최종 시험사격'이라고 밝혀 실전 배치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최대 사거리가 200㎞에 달하는 300㎜ 방사포는 육·해·공군본부가 있는 충남 계룡대와 주한미군 평택·군산기지까지 타격할 수 있다.

한 장관은 "우리 군은 무인항공기(UAV), 대포병 탐지레이더 등으로 실시간 감시 및 탐지하고 공군 전력, 지대지미사일, 지상 화력 등으로 (300㎜ 방사포를) 파괴·무력화하는 개념을 갖고 있다"며 "(2017∼2021 국방중기계획에 포함된) 전술지대지미사일도 전력화될 것이기 때문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이 언급한 전술지대지유도무기는 사거리 120㎞로, 북한이 화력을 은폐하는 갱도 자체를 파괴할 수 있다. 우리 군은 전술지대지유도무기를 2019년 전력화할 계획이다.

한 장관은 또 "우리 군은 북한이 핵실험을 하는 갱도와 주변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며 "이를 토대로 북한이 지도부 결심만 나면 (5차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 (연합)
그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달 중순 거론한 '핵탄두 폭발시험'이 2가지 종류일 수 있다며 "하나는 지하 핵실험 시설에서 미사일에 탑재하는 핵탄두를 폭파하는 것이며 다음으로는 탄두에서 핵물질을 제거하고 기폭만 하는 실험"이라고 추정했다.

북한이 지난달 24일 '고체로켓 엔진 지상분출시험'을 공개한 데 대해 한 장관은 "고체연료 추진기관 개발은 미사일 설계, 추진체 개발·제작, 연소시험, 체계 결합, 비행시험의 5단계를 거치는데 북한은 현재 연소시험 단계"라며 "고체연료를 사용하면 액체연료에 비해 군사작전이 용이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이 고체연료로 탄도미사일 연료 주입 시간을 단축해 우리 군의 미사일 대응작전인 '킬체인'을 무력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북한은 액체연료 주입도 갱도 진지 안에서 하기 때문에 액체연료 미사일이 고체연료 미사일로 바뀐다고 해도 킬체인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고 판단했다.

이어 "북한 미사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우리 군 감시망에) 노출되는 시간은 한 시간 정도"라며 "북한이 고체연료를 쓰면 (노출 시간이) 4분 정도 줄어든다고 본다"고 부연했다.

한 장관은 북한이 작년 12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사출시험 이후에도 "꾸준히 (발사) 성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여러 시도들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북한이 더는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 행위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북한이 국제사회의 요구를 저버리고 또다시 도발하면 더욱 강력한 제재와 고립에 직면해 결국 파멸에 이르는 길을 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 장관은 한미 양국 공동실무단이 진행 중인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논의와 관련해 "군사적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작전기지가 어디인지에 관한 조건을 발전시키고 평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연합) (연합)
중국의 반대에 대해서는 "(사드 배치는) 우리나라의 주권적이고 기본적인 권리에 대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한미일 3국 정상회의에서 거론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체결 문제에 관해서는 "군사적으로 보면 필요성은 있다"며 "좀 더 상황과 여건, 환경이 개선되면 그때 가서 깊이 있는 협력을 얘기할 수 있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