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소아쌤

Penguins go cold to warm up

By Korea Herald

Published : March 8, 2013 - 14:37

    • Link copied

(123rf) (123rf)


Emperor penguins allow their outer feathers to actually become colder than the surrounding air in order to minimize heat loss, European researchers say.

French and British scientist studying thermal images of penguins in Antarctica said they were surprised to discover the outer feathers that cover most of the penguin's body were actually 7 to 10 degrees Fahrenheit colder than the surrounding air.

"We didn't think a warm-blooded animal could ever have an outer surface temperature that was colder than its surroundings," lead study author Dominic McCafferty of the University of Glasgow said.

The researchers said the apparent anomaly appears to be the result of a phenomenon known as "extreme radiative cooling."

The penguins' protective coat radiates more heat into the colder sky than is absorbed from the surrounding air, causing the temperature at the surface of their feathers to fall below that of the surrounding air.

The end result, the researchers said, is that the penguins u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to draw very tiny amounts of heat back to their feathers from the surrounding air, helping them to conserve energy.

It's not much, the researchers said, but when trying to survive in a very cold climate for very long periods of time, every little bit helps.

"The pure physics of heat transfer mean that Emperor penguins literally have no choice other than to be the coolest birds on the planet," McCafferty explained in a release from Biology Letters, the journal publishing the study. (UPI)


<관련 한글 기사>


펭귄들이 추위 이겨내는 비법은?

황제펭귄은 바깥쪽 털을 외부 공기보다 더 차갑게 만들어 열손실을 막는다고 유럽 연구가들이 전했다.

남극 펭귄의 열선 이미지를 연구하는 영국과 프랑스 과학자들은 남극의 매서운 겨울을 나는 펭귄의 몸이 외부 공기보다 화시 7~10도 정도 더 낮은 걸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온혈동물인 펭귄이 그렇게 차가운 몸을 만들 수 있을지 전혀 생각지 못했습니다” 라고 글래스고대학의 도미닉 맥카프티 선임연구원은 이야기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이상현상을 “극 방사선 냉각” 현상의 결과라고 언급했다.

펭귄의 냉각된 보호용 털은 주변의 차가운 공기보다 뜨거운 열을 더 많이 방사하여 주변 온도를 높인다.

그 결과 펭귄은 뜨거운 방사열과 차가운 주변 공기의 온도차를 통해 아주 소량의 열을 주변 공기에서 자신의 날개로 다시 되돌려보내 체온을 보존한다고 연구원들은 전했다.

아주 소량의 열이지만 극한의 추위에 오랜 시간 동안 살아남으려면 그 만큼의 열도 도움이 된다고 연구원들은 밝혔다.

 “이러한 열 전환현상을 봐서라도 황제펭귄이 지상의 다른 새들보다 추위를 가장 잘 타는 종이 될 수 밖에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라고 맥카프티는 영국 왕립학회 저널 ‘생물학 통신’을 통해 밝혔다. (코리아헤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