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becomes only the second Asian country to host the Winter Games
The long battle for the Winter Olympics is over. PyeongChang won the right to host the 2018 Games after winning the majority votes on Wednesday at a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session in Durban, South Africa.
For the third time, the Gangwon Province city, up against Munich of Germany and Annecy of France, was bidding to host the Winter Olympics.
With seven members absent, 95 IOC members were eligible to vote in the first round of voting on Wednesday, meaning 48 votes would be needed to win the bid.
Before the vote, the 2018 bid race was considered a two-horse race between PyeongChang and Munich.
But PyeongChang won 63 of the 95 votes cast, while Munich received 25 and Annecy seven votes, eliminating the two bidders in the first round of the vote and becoming the first Korean city to host the Winter Olympics.
It was the first time an Olympic bid race with more than two finalists was decided in the first round since 1995, when Salt Lake City defeated three others to win the 2002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Games will also be the first time the Winter Olympics is held in Asia since the 1998 Nagano Olympics.
IOC president Jacques Rogge announced the result at around quarter past midnight in Korean time.
Rogge opened the envelope containing the winner’s name, and finally declared PyeongChang as the host of 2018 Winter Games. And when the IOC president called its name, PyoengChang’s delegates in Durban reacted ecstatically, leaping and hugging each other with joy.
News of PyeongChang’s victory also delighted supporters who had gathered in Alpensia Resort in PyeongChang, where the 2018 opening and closing ceremonies will be held.
Wednesday’s decision brought a triumphant end to PyeongChang’s decade-long race to host the Winter Olympics.
PyeongChang, after its two close defeats for the 2010 and 2014 Games, was considered the front-runner for much of the campaign, with Munich running closely behind and Annecy trailing.
On their final battle ground in Durban, the three cities called on political and sporting heavyweights for their last-minute lobbying.
President Lee Myung-bak and reigning figure skating champion Kim Yu-na also flew to Durban to support PyeongChang one last time ahead the IOC voting.
On Wednesday, the three cities had their final presentation to the IOC members ahead of the vote.
Each city had 45 minutes to make its final pitch, followed by 15 minutes for questions and answers. The German bid made the first presentation, followed by Annecy and PyeongChang.
In the final presentation, PyeongChang bid committee CEO Cho Yang-ho pointed out that PyeongChang is trying to host Korea’s first and Asia’s third Winter Games.
With its slogan, “New Horizons,” Cho claimed that PyeongChang’s 2018 Games would help promote the popularity of winter sports not only in Korea but also across Asia.
“Our vision is clear and unique, we have the most compact, efficient Games plan,” Cho told the IOC members.
President Lee, who was the third speaker in PyeongChang’s final presentation, promised the IOC members that the Seoul government guarantees “the full and unconditional support,” for PyeongChang’s 2018 Games.
Lee, speaking in English, also recalled the legacy of the 1988 Summer Olympics in Seoul. “We have worked hard, we will make you proud. And we ask for your support today so that we can finally make our Winter Games dream, and our vision of a new horizons, come true,” Lee told the IOC members.
Figure star Kim said in the presentation that PyeongChang 2018 Games would help nurture Olympics dreams of young athletes.
“Our victory would mean the possibility for success and achievement, that’s what young people, everywhere in the world, need and deserve,” Kim said.
President Lee hailed the success of the bid.
“This is a victory for the people of Korea,” he said.
By Oh Kyu-wook (596story@heraldcorp.com)
(한글기사)
평창,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 성공
개최 명분과 당위성에서 뮌헨•안시 압도
李대통령•김연아•토비 도슨 등 감동 PT로 부동표 흡수
(더반<남아공>=연합뉴스) 천병혁 장재은 기자 = 강원도 평창이 꿈에 그리던 동 계올림픽을 마침내 품었다.
평창은 6일 남아공 더반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에 성공해 경쟁 후보도시인 뮌헨(독일)과 안시(프랑 스)를 따돌리고 개최지로 선정됐다고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이 발표했다.
이로써 한국은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 동계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70년 만 에 안방에서 지구촌의 겨울 대축제를 치르게 됐다.
우리나라가 올림픽을 치르는 것은 1988년 서울 하계올림픽 이후 30년 만이다.
제23회 평창동계올림픽은 7년 뒤인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16일 동안 펼 쳐진다.
장애인들이 참여하는 패럴림픽은 동계올림픽이 끝나고 한 달 뒤인 3월 9∼18일 열린다.
아시아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것은 1972년 삿포로 대회와 1998년 나가노 대 회에 이어 세 번째이며, 국가로는 일본에 이어 한국이 두 번째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2002년 축구 월드컵,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이어 동계올림픽마저 유치한 한국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에 이어 6번째로 세계 4대 스포츠를 모두 유치한 '그랜드슬램' 국가로 등록됐다.
앞서 두 번씩이나 유치에 실패했던 평창은 세 번째 도전에서 동계스포츠의 본고 장에 속하는 뮌헨, 안시와의 접전을 펼친 끝에 극적인 승리를 따냈다.
특히 IOC의 실세인 토마스 바흐 유치위원장과 왕년의 피겨스타 카타리나 비트가 쌍두마차로 나선 뮌헨은 막판까지 평창과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위협적인 라이벌이 었다.
하지만 아시아에서 동계스포츠의 '새로운 지평(New Horizos)'을 열겠다고 선언 한 평창은 명분과 당위성에서 경쟁 도시들을 압도하며 IOC 위원들의 표심을 끌어모 으는 데 성공했다.
조양호 유치위원장과 박용성 대한체육회(KOC) 회장, 이건희•문대성 IOC 위원, 김진선 특임대사 등이 일관된 '낮은 자세'로 진정성을 전달한 평창은 전통적으로 텃 밭인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물론 경쟁도시의 심장부인 유럽과 미주대륙, 오세아니아 에서도 고른 득표에 성공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평창2018> 유치 성공 배경·효과는
실패에 좌절 않고 세 차례 도전 끝 결실
'선수 중심' 개최 계획·'맨투맨' 유치전략 적중
국민사기 앙양..20조원 이상 경제효과 기대
(더반<남아공>=연합뉴스) 천병혁 기자 = 강원도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는 두 차례의 실패를 밑거름 삼아 3번째 도전 끝에 이룬 쾌거라는 점에서 한층 빛을 발하 고 있다.
또 강원도와 체육계 및 재계를 주축으로 하는 대회 유치위와 중앙정부가 찰떡 공조를 이뤄 빚어낸 합작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동계올림픽은 지구촌 최대의 겨울 스포츠 축제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여름 종목 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된 겨울 스포츠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로도 작용할 전 망이다.
◇동계스포츠의 허브로 진화 중 = 1999년 용평리조트에서 열린 동계아시안게임 폐막식에서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 때문이다.
당시 강원도에는 스키점프와 봅슬레이 경기를 치를 시설이 전무했고, 올림픽 코 스의 스키 슬로프조차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 상황에서 과감하게 도전해 두 번의 좌절을 극복하고 마침내 축배를 들었다 .
평창의 유치는 1924년 동계올림픽이 시작된 이후 아시아에선 일본의 삿포로(197 2)와 나가노(1998년)에 이어 3번째다.
동계스포츠의 고향이라는 유럽 도시들을 모두 제치고 이룬 이번 쾌거는 아시아 동계 스포츠사에서 일대의 사건으로 기록될 만한 것이다.
애초 불모지였던 평창이 올림픽 유치사에서 한 획을 그을 수 있었던 주된 배경 으로 실패를 성공으로 돌리고자 하는 노력과 준비를 꼽을 수 있다.
평창은 최초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에 나섰던 12년 전과 비교하면 '상전벽해(桑
田碧海)'를 연출했다.
초현대식 숙소가 들어선 알펜시아는 세계 어느 곳에 내놓아도 뒤지지 않는 스키 리조트로 자리 잡았고, 최첨단 시설을 자랑하는 스키점프대와 깔끔하게 정돈된 노르 딕 스키장은 겨울스포츠 팬들을 부르고 있다.
지난 2월 평창을 방문했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현지실사단은 몇 년 전 황무 지에 불과했던 평창이 이미 올림픽을 치러도 좋을 만큼 완벽한 스키 타운으로 변모 한 모습에 감탄을 자아냈다.
두 번의 실패 속에도 반드시 올림픽을 유치하겠다는 강원도민의 뜨거운 열정을 한눈에 확인한 것이다.
동계스포츠 분야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질 7년의 시간이 또 흘러 2018년이 되면 평창은 동계올림픽 팡파르를 울린다.
그때가 되면 전 세계인들은 진정한 아시아 동계스포츠 허브로 변모한 평창의 모 습에 다시 한번 놀랄 것으로 보인다.
◇체육계·재계, 중앙정부의 합작품 =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는 체육계는 물론 정부와 재계가 온 국민의 염원을 담아 합심해 이룬 성과물로 볼 수 있다.
평창이 처음 도전에 나설 당시에도 정부와 재계의 협조가 분명히 있었지만, 이 번처럼 전폭적인 수준은 아니었다.
어디까지나 강원도와 체육계의 현안이라는 시각이 뚜렷했다.
두 번째 도전에선
하지만 이번엔 달랐다.
평창유치위원회가 강원도 산하 법인에서 중앙정부 산하 법인으로 이전하면서 동 계올림픽이 국가적인 과업으로 격상됐다.
글로벌 항공사를 경영하는
국내 최대 재벌그룹 총수인
이명박 대통령은 IOC 총회가 열리는 남아공 더반에 국가원수로는 역대 최장 기 간인 5박6일이나 체류하며 동계올림픽 유치에 전력을 쏟았다.
체육계와 강원도를 넘어 정부와 재계까지 일치단결해 국민적 역량을 집결함으로 써 꿈을 현실로 만든 것이다.
◇'선수중심' 개최 계획·'맨투맨' 유치 전략 적중 = 평창유치위가 내걸었던 모 토는 '선수 중심·경기 중심의 올림픽'이다.
설상 경기가 열리는 '알펜시아 클러스터'와 빙상 경기가 펼쳐지는 강릉의 '코스 탈 클러스터'가 양대 축으로 올림픽 사상 가장 콤팩트하게 경기장을 배치했다.
평창은 2개의 올림픽 타운을 철도와 고속도로 및 국도 등 다중 교통망으로 편리 하게 연결해 참가 선수의 90%는 10분 이내에 경기장에 도착할 수 있는 점을 강조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