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지나쌤

‘Chemicals dumped in Bucheon’

By Song Sangho

Published : May 24, 2011 - 19:02

    • Link copied

Ex-soldier claims indiscriminate dumping at U.S. base


Another former U.S. soldier claimed seven years ago that his unit in Bucheon, Gyeonggi Province, dumped “every imaginable chemical” there in the 1960s, a U.S.-based Korean journalist said Monday.

The comment further escalated public anxiety over toxic chemical contamination by U.S. troops here, who are alleged to have buried a considerable amount of Agent Orange at a base in Waegwan, North Gyeongsang Province, in 1978.

On a website for former U.S. Forces Korea troops, named “Korean War Project,” a man, named Stephen Stallard, unveiled the claim by another veteran with a post titled, “Chemicals dumped at Camp Mercer.”

Ray Bows, who served for the 44th Engineer Construction Battalion at the camp in Bucheon from July 1963 to April 1964, made the claim on the website on May 24, 2004. The journalist, An Chi-yong, revealed the posting on his website “Secret of Korea.”

“I was with USACDK (U.S. Army Chemical Depot Korea) and we occupied the two warehouses on the right and the one on the left as you came in the main gate. In March and April, 1964, USACDK moved to Camp Carroll in Waegwan (as Chemical Depot was too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 Bows said in the posting.

“We dug a pit with a bulldozer ― doned rubber suits and gas masks and dumped every imaginable chemical ― hundreds of gallons if not more ― into the ground on a knoll behind the second storage warehouse on the right.”

Bows did not specify what kinds of chemicals were thrown there and how the dumping site had since been managed. Currently, the site for Camp Mercer is occupied by an engineer unit under South Korea’s Army’s Capital Corps.

He revisited the camp in 1978 and saw “no noticeable change” in the surrounding countryside, which he found surprising, Bows added. “Camp Mercer had not changed at all from 1964 to 1978-80,” he said.

Such remarks appear to indicate that among those thrown there could be hazardous substances, observers said.

Bucheon City said that it plans to check whether underground water near the site for Camp Mercer is contaminated with any toxic chemicals and that it will make “all-out” restoration efforts should what Bows said turn out to be true.

Bows’ comment was revealed after the U.S. military here said its internal records show some chemical substance was buried at Camp Carroll in Waegwan in 1978 and began moving the chemical waste somewhere else the next year to dispose of it.

The USFK also said that in a 2004 environmental survey in the region, dioxin, a toxic chemical known to cause cancer, was found.

The dumping cases have apparently put Seoul and Washington governments in a difficult situation, particularly as they have a variety of bilateral issues to coordinate, including those concerning North Korea and the free trade agreement.

Some observers say that they could undermine the long-standing bilateral alliance and trigger strong anti-American sentiment here.

Local residents near Camp Carroll have expressed strong displeasure over the reported dumping of the toxic substance, saying that they feel “betrayed” by the U.S. troops who have stressed “peaceful coexistence” with them.

They are concerned that the dumping could seriously damage the image of their living ground famed for “clean, natural environment” and cause the public to doubt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grown there.

“The U.S. troops that came here in 1960 lead the regional development here. But they have turned into obstacles for our development and a subject of fears,” said Chang Se-ho, chief of the Chilgok County, in an interview with the local daily Munhwa Ilbo.

Some environmental activists have expressed concerns over the possibility that there may be some other places where the U.S. troops have dumped harmful waste.

South Korea and the U.S. have launched a joint investigation into the alleged burial of Agent Orange at Camp Carroll for a “prompt, transparent” resolution to the issue.

Steve House, a soldier who served at the camp, told local media that about 600 barrels of the harmful chemical might have been buried near the camp’s helicopter landing facility, which is a central logistical support unit for the USFK.

Agent Orange is a toxic defoliant that the U.S. military used to clear jungles in the 1960s during the Vietnam War.

It is known to cause mental illness, cancer and fetal deformities. More than 33,000 South Koreans who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suffered from aftereffects of exposure to the defoliant and have been registered as men of national merit.

The U.S. military is known to have sprayed defoliant south of the Demilitarized Zone from 1968-69 to more easily detect North Korean infiltrations into the South. The allegedly buried defoliant is reportedly left over from stocks used during the Vietnam War.

The U.S. maintains some 28,500 troops on the Korean Peninsula, who serve primarily as a deterrent against the North.

By Song Sang-ho (sshluck@heraldcorp.com)

(관련기사)
고엽제 파문 확산일로


경북 칠곡군 왜관읍의 미군기지 캠프 캐럴 내 고엽제 매몰 의혹 파문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캠프 캐럴뿐만 아니라 경기도 부천 오정동에 있었던 '캠프 머서'에도 1963∼196 4년 온갖 화학물질이 매립됐다는 주장이 24일 전해지면서 주한미군기지와 그 주변의 환경오염 실태를 전반적으로 조사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제기되고 있다.

주한미군은 전날 미8군사령부 보도자료를 통해 고엽제를 매립했다고 알려진  지 역 주변에 화학물질과 살충제, 제초제, 솔벤트용액 등이 담긴 많은 양의 드럼통을 매몰했다는 기록이 1992년 미 육군 공병단 연구보고서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또 파묻힌 드럼통과 그 주변 40∼60t가량의 흙이 1979년부터 1980년까지 이 지 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옮겨져 처리됐으며 고엽제가 포함됐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드럼통이 어느 지역으로 옮겨져 어떻게 처리됐는지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밝혀진 게 없다.

주한미군은 이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는 답변만 되풀이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고엽제가 담긴 드럼통들이 다른 지역의 주한 미군기지로 옮겨졌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1970년대 초 캠프 캐럴 외에 경기 의정부를 비롯한 다른 지역의 미군기지로 고엽제로 추정되는 다량의 드럼통을 옮겼다는 증언도 나오고 있다.

주한미군에 의한 환경오염 사례는 지금까지 적지 않게 발견됐다.

특히 환경문제가 관심사로 떠오른 1990년대 이후에는 미군기지 주변에서 환경오 염에 의한 피해를 호소하는 사례가 잦아졌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1991년부터 최근까지 드러난 주한미군의 환경오염 사례는 모 두 47건으로 기름 유출사건 29건, 포르말린 등 유해물질 무단방류 7건, 불법매립 5 건, 토양오염 3건, 기타 3건 등의 순이었다.

주한미군과 정부 등에 따르면 이날 현재 전국에 남아 있는 주한미군기지는 모두 40여 개에 달한다.

전체 90여개 중 주한미군기지 이전 사업에 따라 반환 대상으로 선정된 80개 기지 중 47개가 반환된 결과다.

문제는 기지이전 사업에 따라 반환된 미군기지는 대부분 2003년 한ㆍ미간 합의 이후 환경오염평가를 거쳐 반환됐지만 1993년 반환된 캠프 머서와 같이 그 이전에 반환된 일부 기지는 환경오염평가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정부 관계자는 "2003년 이전에도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 등에 따라 반환된  미군 기지가 일부 있다"면서 "당시에는 환경평가에 대한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 환경오염평가 등이 이뤄지지 않은 채 반환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또 반환대상이 아닌 캠프 캐럴과 같은 미군기지에 대해서도 우리 정부가 환경오염평가를 실시한 사례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한미군 기지 전반에 대한 환경오염 평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까닭이다.

그러나 한ㆍ미 양국이 이번 고엽제 매몰 의혹을 풀기 위한 공동조사를 하면서 동두천 등 다른 미군기지의 불법폐기 의혹은 일단 조사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우리 정부와 미군 관계자들이 공동으로 참가하는 공동조사 위원회를 곧 구성할 계획"이라면서 "공동조사위원회가 구성되면 미측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제출받고 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이다. 미측도 빨리 구성하자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캠프 캐럴 외 다른 기지에 대한 조사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단 캠프  캐럴 에 대해서 조사를 할 것"이라면서 "다른 기지에 대한 조사 여부는 아직 언급할 단계 가 아니며 공동조사위에서 다룰 사안"이라고 말했다.

녹색연합 관계자는 "현재 제기되고 있는 모든 환경오염 의혹을 풀기 위해서라도 주한미군 기지 전반에 대한 철저하고 광범위한 환경오염평가와 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