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피터빈트

한국 이직자, 고부가산업서 저부가산업으로 간다

By KH디지털2

Published : Nov. 3, 2013 - 18:10

    • Link copied

국내 근로자의 이직 흐름이 대기업과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에서 음식•숙박업과 같은 저부가 산업으로 쏠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근로자의 노동이동성을 측정한 결과다.

한국은행 조사국 이은석,박창현,박세준 과장과 김주영 조사역 연구진은 3일 '산업간 노동이동성 분석,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이러한 흐름을 완화하지 못하면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제성장 효과가 약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노동이동이란 근로자의 산업간,기업간,직업간 이직을 뜻한다. 보통 더 나은 월급, 근속연수, 근무 여건을 위한 상향 이동이 잦아야 바람직하다. 그럴수록 산업간 생산성 불균형이나, 근로자 간 임금격차, 나아가 사회적 불평등이 개선돼서다.

그러나 한국의 현실은 반대다. 연구진이 한국고용정보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 저부가가치 서비스업으로 이직한 노동자의 52.8%는 제조업,고부가 서비스업과 같이 더 나은 부문 등에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2003년(40.4%)보다 13.5%포인트나 커진 것이다.

연구진은 "지난 10년간 저부가 서비스업 근로자가 해당 업에 머무는 비율(75.5%)도 고부가 서비스업(46.0%), 제조업(63.0%)보다 높다"고 말했다. 노동의 질이 점차 하향평준화된 셈이다.

연구진은 그 원인을 '생계유지'에서 찾았다. 직업을 잃은 직장인이나 노후가 막막한 은퇴세대들이 노동시장에 남아 손쉬운 도소매업,음식업 등에 투신한 결과란 것이다.

연구진은 "노동이동이 생계유지 목적으로 불가피하게 진입 장벽이 낮은 산업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이는 저부가 서비스업의 과밀화, 경제 전체의 노동생산성 저하 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 밖에도 정보기술(IT)화 진전으로 제조업의 생산성이 빠르게 향상되며 이직의 '기술장벽'이 높아진 점, 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높은 고용보호가 비정규직 근로자의 기회를 앗아가는 점 등이 노동 (상향)이동의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꼽혔다.

연구진은 생산성이 낮은 부문에서 높은 부문으로 노동이동이 원활해지려면 저부가 서비스업 근로자에 직업 재교육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노동시장을 유연화하고 산업 융•복합화로 서비스업의 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관련 영문 기사>

Labor mobility to low value-added sectors to weigh down Korea’s productivity

Korea’s economic competitiveness is expected to be severely affected by an increasing number of workers moving from high value-added industries to low value-added ones, analysts at the Bank of Korea warned.

Almost 53 percent of employees of high value-added sectors such as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moved into low value-added services industries over the last decade, according to a BOK report by a group of analysts.

The figure, which compares 2003 and 2013 data, increased from turnover of about 40 percent the decade before, it added.

More than 75 percent of those who switched to low value-added jobs stayed in those sectors, many working for or setting up motels or restaurants that offered lower entry barriers compared with high value-added industries.

This was far higher than 63 percent who stayed in manufacturing, BOK analysts noted, raising concerns that labor mobility in this direction would weigh down the country’s productivity and, thus, growth in the long term.

They said that Korea was going “backward” in terms of labor turnover. It is more common for an emerging economy maturing into a developed one to see its laborers to move into high tech or innovative sectors from low-grade industries.

The rise in Korea’s labor turnover came a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retired or were laid off from in high value-added sectors sought to continue working to maintain basic living standards.

The current labor trend in Korea could further widen the income gap, and increase social inequality and productivity imbalances unless the country boosts job training for such people to help them get back into high tech sectors or helps raise productivity in low value-added sectors through innovation, the BOK report said.

By Park Hyong-ki
(hkp@heraldcorp.com)